centOS에서 ls -l을 입력하면
현재 위치에서 존재하는 파일 및 폴더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한 목록을 출력한다.
이렇게 나오는 정보들은 차례대로
파일유형 및 접근권한 / 링크 수 / 소유자 / 그룹 / 크기 / 수정날짜 / 이름
이렇게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이번에는 파일유형 및 접근권한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다.
파일유형 및 접근권한은 위에서 볼 수 있듯이 10개의 문자 + .로 이루어져 있다.
ex) drwxr-xr-x.
유형은 1개의 문자 / 권한은 3개의 문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아래와같이
[파일유형] [소유자의 권한] [소유자가 속한 그룹의 권한] [다른 유저의 권한]
이렇게 4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져 총 10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에서 파일의 유형은
- | 파일 |
d | 폴더 |
l |
심볼릭 링크 (바로가기)
|
이렇게 3개로 구성되어있고,
권한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문자 | 2진수 | 8진수 | |
권한 없음 | - | 000 | 0 |
읽기 권한 | r (read) | 100 | 4 |
쓰기 권한 | w (write) | 010 | 2 |
실행 권한 | x (execution) | 001 | 1 |
권한은 조합을 하여 사용하는데
아래 표와같이 볼 수 있다.
문자 | rw- | r-x | --x | -wx | rwx |
2진수 | 110 | 101 | 001 | 011 | 111 |
8진수 | 6 (4 + 2) | 5 (4 + 1) | 1 | 3 (2 + 1) | 7 (4 + 2 + 1) |
이제 이 개념과 chmod 명령어를 이용해서 권한을 부여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문자 를 이용해서 권한을 부여하고
-문자 를 이용해서 권한을 제거한다.
위와 같이 [사용자] [사용자 그룹] [그외 유저] 에 대한 권한을 한번에 부여할 수 도 있지만
chmod u[+/-권한],g[+/-권한],o[+/-권한] [파일명]
이렇게 각각 나눠서 권한을 설정할 수 도 있다.
직관적이긴 하지만 코드가 길기 때문에
조금 익숙해지면 8진법으로 작성하는게 짧고 간결하다.
위와같이 chmod 744 a.txt 이런식으로 작성하면 된다.
참고로 폴더에 권한을 설정할 경우!
기본적으로 하위파일 및 폴더에는 권한이 변경되지 않는다!!
chmod -R 754 [dir] 이런식으로
-R 옵션을 사용해야 하위파일들의 권한도 변경된다.
명령어/단축키 | 옵션 | 세부 기능 |
chmod [권한] [파일 또는 폴더] | 파일 또는 폴더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 자신이 소유하지 않은 파일은 sudo를 사용 (기본적으로 하위폴더 및 하위 파일들의 권한은 변경되지 않는다.) |
|
-R | 하위 모든 폴더 안에 들어있는 자식 파일들도 전부 한번에 변경하는 옵션 | |
chown | 해당하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변경하는 명령어 chown [user] [file] chown :[group] [file] 그룹을 지정할때는 앞에 :(콜론)을 넣는다. |
|
-R | 하위 모든 폴더 안에 들어있는 자식 파일들도 전부 한번에 변경하는 옵션 |
'프로그래밍 공부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CentOS] 사용자 관련 명령어 (0) | 2025.03.27 |
---|---|
[Linux/CentOS] CAT, >, >> 명령어 (0) | 2025.03.27 |
[Linux/CentOS] 기본 명령어 (0) | 2025.03.26 |
[Linux] VMware 를 통한 centOS 설치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