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RM] 데이터 저장 방식 관련 고민

반응형

https://somewhere-in-my-memory.tistory.com/entry/Revit-App-%EC%A3%BC%ED%83%9D%EA%B4%80%EB%A6%AC-%ED%94%84%EB%A1%9C%EA%B7%B8%EB%9E%A8-%EC%A0%9C%EC%9E%91-%EB%8F%84%EC%A0%84

 

[Revit App] 주택관리 프로그램 제작 도전

Revit-ResidenceManager 🏠 배경BIM(Building-Information-Modeling) 프로그램인 Revit을 활용하여 건축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 뿐 아니라, 건물을 관리하는 사람들 또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건물(주택

somewhere-in-my-memory.tistory.com

 

현재 이 프로젝트는 언어를 공부하면서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굉장히 느리다.

하지만 그 덕분에 프로그램을 실제로 들어가기 이전에 이런저런 고민들을 더 해볼 수 있어서 좋은 것 같다.

 

데이터 저장 방식에 기존 계획 :

이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초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을 두가지 중에서 고민했었다.

 

1. JSON 형태의 파일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pc의 경로에 저장?

2. 서버를 구축해서 회원가입 기능을 만들고 DB를 연동해서 작업?

 

이렇게 고민을 하다가 우선은 json형태의 파일로 저장하는 방향으로 결정을 했다.

 

 

해당 방식 결정 사유 :

그렇게 결정한 이유는 우선 이 프로젝트를 빠르게 완성해야되었기 때문이다.

말이 좀 이상하지만 천천히 공부하면서 하되, 기한이 있는 상태라는 의미다.

 

이 프로젝트는 8월 이전에 작업을 끝내고, 이전에 근무했던 건축사무소에 프로그램을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해당 사무소에서 이런 형태로 BIM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홍보를 하고싶다는 이야기를 듣고 프로젝트를 선정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렇게 홍보를 할 수 있는 기회가 8월즈음에 있다고 들어서 기한을 8월 초, 7월 말로 잡고 진행중에 있다.

 

그래서 최대한 작업이 적은 방향으로 진행하고자 JSON 형태의 파일로 저장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데이터 저장 방식 번복 사유 :

하지만 생각해보니 이게 BIM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설득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려면, 이렇게 작업하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무위키의 내용을 조금 인용해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약자이다.
기존의 CAD등을 이용한 평면도면 설계에서 한 차원 진화해 3D 가상공간을 이용하여 전 건설분야의 시설물의 생애주기 동안 설계, 시공 및 운영에 필요한 정보, 모델을 작성하는 기술이다.

 

 

그러니까 해당 프로그램의 목적은 현재는 BIM이 설계에만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건물의 운영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어필하기 위해 보여주려는 목적이기 때문이다.

 

 

결론 :

이러한 이유로 Revit 파일이 무거워질 수도 있고, 프로그램이 원활하게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해당 프로그램의 모든 데이터는 Revit 파일 안에 저장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