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공부/IT 지식

[네트워크] 데이터그램(Datagram) & 가상회선(Virtual Circuit)

내 머리속 어딘가 2025. 4. 16. 01:30
반응형

📗 정보처리기사에서의 설명

1. 데이터그램 방식 (Datagram)

: 비연결형 통신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전에 접속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헤더에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지정을 위한 충분한 정보를 붙여서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방식

 

 

2. 가상 회선 방식 (Virtual Circuit)

: 연결형 통신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출발지와 목적지의 전송 경로를 미리 연결하여 논리적으로 고정한 후 통신하는 방식

 

 


🔍Datagram 뜻

가상 회선 방식은 말이 뭔가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는데

데이터그램 (Datagram)은 영어라 그런지 한번에 느낌이 잘 오지 않아서 영어를 해석해보았다.

 

  • Data : 말그대로 정보, 데이터를 의미
  • -gram : 기록된 것, 쓰여진 것, 그림, 메시지 등을 의미

 

💡그러니까,

     Datagram은 “정보가 기록된 것” 이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로써,

     논리적인 회로를 연결하는 방식이 아니라,

     목적지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것” 이라고 이해를 하면 될 것 같다.

 

 


✅ 1. 회선 교환 방식 (Circuit Switching)

항목 설명
정의 통신을 위해 송수신자 간에 전용 회선(경로)을 미리 설정하고, 그 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연결 연결형 서비스(connection-oriented)
특징 - 통신 전 연결 설정 필요 - 전송 중 지속적인 대역폭 보장 - 회선이 고정되어 지연은 거의 없음 - 비효율적 자원 사용 (사용 안 해도 회선 점유)
예시 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2. 가상 회선 방식 (Virtual Circuit Switching)

항목 설명
정의 논리적인 가상 회선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패킷 교환 방식의 하위 개념
연결 연결형 서비스(connection-oriented)
특징 - 송수신 간 논리적 경로(가상 회선) 설정 - 모든 패킷이 같은 경로로 전송됨 - 데이터 순서 보장 가능 - 실제 물리 회선은 공유
예시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일부 MPLS 기반 네트워크

 


✅ 3. 데이터그램 방식 (Datagram Switching)

항목 설명
정의 패킷 단위로 전송하며,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라우팅되는 방식
연결 비연결형 서비스(connectionless)
특징 - 연결 설정 없음 - 각 패킷은 다른 경로로 이동 가능 - 순서 보장 없음 - 단순하고 유연함
예시 IP(Internet Protocol) 기반 인터넷

 


 

 

🎯 핵심 비교 요약


구분 회선 교환 가상 회선 데이터그램
연결 설정 O (물리 회선) O (논리 회선) X
전송 단위 연속적인 비트 스트림 패킷 패킷
경로 고정 여부 고정 논리적으로 고정 고정 아님
순서 보장 O O X
대표 예 전화망 ATM, 프레임 릴레이 인터넷(IP)

 


📌 참조 사이트

https://security-nanglam.tistory.com/179

https://ttugttag-coding.tistory.com/87

https://bugi45.creatorlink.net/forum/view/1019524



반응형